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성장 마인드를 키우는 셀프 대화법

by 젤로하 2025. 8. 5.

“나는 못해…” 대신 “아직 익숙하지 않아”라고 말해보세요

1. 성장 마인드셋이란?

성장 마인드는 능력은 노력과 학습을 통해 발전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출발합니다.
심리학자 캐롤 드웩(Carol Dweck)은 인간의 사고방식을 ‘고정 마인드셋’과 ‘성장 마인드셋’으로 나누며, 성장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일수록 실패를 배움의 기회로 받아들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예를 들어, 시험을 망친 후

  • 고정 마인드: “나는 원래 머리가 안 좋아.”
  • 성장 마인드: “이번에는 준비가 부족했어. 다음엔 전략을 바꿔보자.”

이처럼 같은 상황에서도 마인드에 따라 생각과 행동이 달라집니다.

 

성장 마인드를 위한 셀프 대화법

2. 성장 마인드를 키우는 셀프 대화법 5가지

자신에게 어떤 말을 하느냐에 따라 생각이 변하고, 생각이 행동을 이끕니다. 아래 셀프 대화법을 참고해보세요.

① “나는 못 해.” → “아직 익숙하지 않을 뿐이야.”

무언가를 잘 못한다고 해서 그게 곧 영원히 못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아직’이라는 말을 덧붙이면 가능성의 문이 열립니다.

② “실패했어.” → “배울 기회가 생겼네.”

성공만큼 실패도 귀한 자산입니다. 실수와 실패에서 무엇을 배웠는지 자문해보세요. 그러면 좌절 대신 성장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③ “나는 재능이 없어.” → “노력으로 나아질 수 있어.”

재능보다는 꾸준한 노력과 피드백이 더 중요합니다. 지금 부족한 것은 연습으로 채울 수 있다는 걸 기억하세요.

④ “저 사람은 천재야.” → “어떻게 그렇게 되었을까?”

비교는 멈추고 상대의 전략이나 습관을 분석해보세요. 배울 점을 발견하고 내 것으로 만드는 것이 성장입니다.

⑤ “그냥 안 맞는 것 같아.” → “조금 더 해보자.”

포기하고 싶은 순간, 한 발자국 더 내딛는 것이 차이를 만듭니다. 지속과 반복이 변화를 이끕니다.

3. 나를 변화시키는 말 한마디

우리는 매일 무의식적으로 자신과 대화를 나눕니다.
“난 왜 이럴까”보다는 “어떻게 하면 달라질 수 있을까”라고 자신에게 질문을 바꾸는 순간, 삶의 방향도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합니다.

성장 마인드는 거창한 다짐보다 매일의 셀프 대화 습관에서 비롯됩니다. 오늘 하루, 어떤 말을 자신에게 건네고 계신가요?

4. 경험담

저는 어렸을 때부터 조금 소심했던 사람입니다. 누가 저를 칭찬해주면 항상 겸손해야한다고 생각해서 '아니에요~ 저도 아직 잘 못해요~.' 같은 말을 많이 했었는데요. 이게 의도는 겸손이었지만 습관적으로 내가 잘 못한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더라고요. 이러한 점을 바꾸고 싶기도 했고 점차 자기 PR 시대가 되면서 '내가 잘 하는 건 뭘까?'라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그런데 너무 오랫동안 스스로를 작게 만들어서 그런지 재능에 대해 정말 생각하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정말 사소한 것부터 잘 하는 것을 찾아봐야겠다고 생각했어요. 그러다 보니 다른 사람의 재능은 무엇인지 궁금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분석하게 됐습니다. 그리고 그걸 저도 시도해보면서 저는 얼마나 잘 할 수 있는지 시험해보곤 했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일들이 '나는 재능이 없구나.' 라고 생각하게 됐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포기하지 않고 몇 번 더 시도해봐야 나의 재능을 알 수 있는 것 같습니다.

 

한 번에 잘 되는 사람은 정말 드물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저는 어려서부터 미술을 잘 못했습니다. 그래서 당연히 손재주가 없다고 생각했는데요. 요즘 저는 사람들에게 손재주가 좋다는 말을 듣습니다. 왜냐하면 못 하는 걸 당연하게 여기지 않고 시도해봤기 때문입니다. 베이킹, 인형 만들기 등을 몇 번 더 해보니까 감이 생기고 결국 마음에 드는 결과물을 얻게 되었습니다.

 

앞서 소개드린 5가지 대화법이 다 제가 했던 방법들입니다. 그 결과 저는 잘 할 수 있는 것이 몇 가지 더 늘게 되었고, 앞으로도 실패하더라도 경험 삼아 도전해보고 싶은 일들이 많아졌습니다.

여러분들도 다양한 시도와 경험을 통해 삶을 더 다채롭고 즐겁게 보냈으면 좋겠습니다.